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일본의 라이트 노벨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2006년과 2009년에 두 차례에 걸쳐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2010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었다. 이 작품은 평범한 고등학생 쿈과 그가 속한 SOS단의 이야기로, 스즈미야 하루히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SF, 미스터리, 러브 코미디 요소를 담고 있다. 2006년에는 원작의 설정을 활용한 셔플 방송 방식을, 2009년에는 시계열 순으로 방송되었다. 이 작품은 2000년대 심야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으로, '하루히 댄스' 등의 사회 현상을 만들어내며 큰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노미야시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은 《凉宮ハルヒシリーズ》를 기반으로, 소심한 나가토 유키가 교통사고 후 다른 인격이 나타나면서 쿈, 아사쿠라 료코 등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니시노미야시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반딧불이의 묘
반딧불이의 묘는 노사카 아키유키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제작한 1988년 애니메이션 영화로, 태평양 전쟁 말기 고베 대공습으로 고아가 된 남매가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겪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반전 영화이며, 다양한 수상 경력과 함께 TV 드라마와 실사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2009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2009년 본즈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는 아라카와 히로무의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를 원작으로, 엘릭 형제의 여정을 통해 현자의 돌, 호문쿨루스, 정부의 음모를 다루며, 뛰어난 액션과 감성적 스토리텔링, 유명 가수들의 참여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 2009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여름의 폭풍!
《여름의 폭풍!》은 여름 방학에 요코하마에 온 소년 야사카 하지메가 찻집에서 유령 소녀 아라시야마 사요코와 만나 시간 여행을 하며 과거 사건을 해결하고, 아라시 친구들과 현대 인물들이 얽히는 이야기를 그린 코바야시 진의 만화로, 2009년 샤프트에서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어 신보 아키유키 감독의 연출과 복고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 - 스즈미야 하루히 - 타니가와 나가루
타니가와 나가루는 일본의 소설가로,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로 유명하며 2003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로 스니커 대상을 수상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은 《凉宮ハルヒシリーズ》를 기반으로, 소심한 나가토 유키가 교통사고 후 다른 인격이 나타나면서 쿈, 아사쿠라 료코 등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학원 사이언스 픽션 세카이계 일상계 |
애니메이션 (제1기, 2006년) | |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
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
시리즈 디렉터 | 야마모토 유타카 (시리즈 연출) |
시리즈 구성 | 스즈미야 하루히와 유쾌한 동료들 |
각본 | 야마모토 유타카 이시하라 타츠야 무라모토 가츠히코 조 이토 시모 후미히코 타니가와 나가루 가토 쇼지 |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쇼코 |
음악 | 코사키 사토루 |
애니메이션 제작 | 교토 애니메이션 |
제작 | SOS단 |
방송국 | 치바테레비 외 |
방송 시작 | 2006년 4월 3일 |
방송 종료 | 2006년 7월 3일 |
화수 | 전 14화 |
대한민국 방송국 | 애니맥스 |
대한민국 방송 시작 | 2008년 1월 11일 |
대한민국 방송 종료 | 2008년 2월 22일 |
애니메이션 (2009년판) | |
원작 | 타니가와 나가루 |
총감독 | 이시하라 타츠야 |
감독 | 다케모토 야스히로 |
시리즈 구성 | 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
각본 | 시모 후미히코 가토 쇼지 다케모토 야스히로 무라모토 가츠히코 타니가와 나가루 이시하라 타츠야 |
캐릭터 디자인 | 이케다 쇼코 |
음악 | 코사키 사토루 |
애니메이션 제작 | 교토 애니메이션 |
제작 | SOS단 |
방송국 | 산테레비 외 |
방송 시작 | 2009년 4월 3일 |
방송 종료 | 2009년 10월 9일 |
화수 | 전 28화 (재방송 14화 + 신작 14화) |
대한민국 방송국 | 애니맥스 |
관련 작품 | |
원작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타니가와 나가루) |
애니메이션 |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뇨롱 츄루야씨 나가토 유키 짱의 소실 |
극장판 애니메이션 |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
만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미즈노 마코토)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츠가노 가쿠)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뿌요) 고이즈미 이츠키 군의 음모 (뿌요) 뇨롱 츄루야씨 (에렛토) |
라디오 | SOS단 라디오 지부 |
비디오 게임 | 스즈미야 하루히의 약속 (PSP) 스즈미야 하루히의 당황 (PS2)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 (Wii) 스즈미야 하루히의 병렬 (Wii) 스즈미야 하루히의 직렬 (DS) TDOS3 for iPhone (iPhone/iPod touch) 스즈미야 하루히의 추상 (PS3/PSP) 스즈미야 하루히의 단결 (휴대 전화 (GREE)) 스즈미야 하루히의 전생 (휴대 전화 (GREE))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마작 (PSP) |
2. 역사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가 2006년에 교토 애니메이션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독립 UHF 등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다.[1] 여자 고등학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평범한 학교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비상식적인 사건을, 강제로 SOS단에 가입하게 된 평범한 남자 고등학생 쿈의 시점에서 그리고 있다.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2006년에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다. 같은 해 4월부터 7월까지 독립 UHF 등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평범한 학교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비상식적인 사건을, 강제로 SOS단에 가입하게 된 평범한 남자 고등학생 쿈의 시점에서 그리고 있다.
UHF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높은 퀄리티가 화제를 모아 2006년 상반기 화제작이 되었다. 이 애니메이션 방영을 계기로 원작 소설의 누계 발행 부수가 130만 부에서 450만 부로 크게 상승했고, 캐릭터송 판매 실적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2006년 2월 3일부터 2006년 12월까지는 라디오 프로그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가 라디오 관서에서 방송되었다.
3. 줄거리 및 에피소드 구성
UHF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높은 퀄리티로 2006년 상반기 화제작이 되었다. 이 애니메이션 방영을 계기로 원작 소설의 누계 발행 부수가 130만 부에서 450만 부로 크게 상승했고, 캐릭터송 판매 실적도 높았다.
2006년 2월 3일부터 12월까지는 라디오 프로그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가 라디오 관서에서 방송되었다.
3. 1. 2006년판 (1기)
작품 내용은 원작 시리즈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중심으로, 3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5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6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의 일부 단편과,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애니메이션을 위해 새로 쓴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Someday in the Rain"으로 구성되었다.[1]
"Someday in the Rain" 편은, 쿈의 1인칭 해설과 함께 진행되는 작품을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쿈이 없는 SOS단"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작되었다.[1]
TV 방영 시에는 원작의 발행 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 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1] 이 때문에 다음 회 예고 때 스즈미야 하루히는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화수를 말하고, 뒤이어 쿈은 TV 방영 순서를 따른 화수와 부제목을 말하며 정정한다.[1]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 순서를 시간 순서와 다르게 배치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원작에 충실할수록 원작을 보지 않은 시청자에게는 좋지만, 이미 스토리를 아는 원작 팬들의 재미가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원작 팬을 위해 애니메이션 자체 요소를 늘리면 원작의 분위기를 해칠 위험이 있다. 원작을 따르면서도 원작 팬에게 신선함을 주고자 한 결과, 이와 같은 방송 순서가 나왔다고 한다.
시간 배열은 달라졌지만, 장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VI) 사이에 단편이 끼어 있는 것뿐이며, 단편이 장편의 복선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DVD에 시간 순서대로 수록한 것은, 다시 한번 시간 배열대로 보게 하여 새로운 발견을 유도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원작자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를 최종화로 하기로 결정했는데, 그러면 시간 배열이 복잡해지므로 아예 설명 없이 방영 순서를 완전히 섞어버리자고 생각했다고 한다. 시리즈 연출을 맡은 야마모토 유타카의 "초감독 하루히는 자기가 만든 영화를 제1화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그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3. 1. 1. TV 방송 순서
화수 | 제목 |
---|---|
제1화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제2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제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
제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
제5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
제6화 | 고도 증후군 (전편) |
제7화 | Mystérique Sign |
제8화 | 고도 증후군 (후편) |
제9화 | Someday in the Rain |
제10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
제11화 | 사수자리의 날 |
제12화 | Live Alive |
제1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
제1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
3. 1. 2. 시계열 순서
DVD에서는 가장 먼저 발매된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을 제외하고 모두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1] 차회 예고도 그에 따라 나가토 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변경되었다.[1] TV 방영 시의 차회 예고는 DVD의 영상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1]계절 | 화수 | 제목 | 원작 | DVD 수록 권 |
---|---|---|---|---|
4 - 5월 | 제2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1권 《우울》 | 1권 |
제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 |||
제5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 2권 | ||
제10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 |||
제1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 3권 | ||
제1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 |||
6월 | 제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 3권 《무료》 | 4권 |
7월 | 제7화 | Mystérique Sign | ||
제6화 | 고도 증후군 (전편) | 5권 | ||
제8화 | 고도 증후군 (후편) | |||
11월 | 제1화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6권 《동요》 | 0권 |
제12화 | Live Alive | 6권 | ||
제11화 | 사수자리의 날 | 5권 《폭주》 | ||
제9화 | Someday in the Rain | 애니 오리지널 | 7권 | |
3. 2. 2009년판 (2기)
2009년판은 2006년판을 기초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중간에 새로운 에피소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방영되었다. 가도카와 쇼텐이 방송 전에 서브타이틀을 공표하지 않아 신작에 대한 기대와 함께 어떤 방송이 될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고,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되면서부터는 다음 화에 대한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했다.2006년판 방영분은 DVD에 수록된 디렉터즈 컷 버전이었고, 오프닝 크레딧만 스태프 변경에 따라 일부 수정되었다.
2기가 방송될 당시 원작 소설인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가 2년 넘게 신작(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이 발표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2기에 많은 관심과 기대가 모아졌다. 하지만 8화에 걸친 엔들리스 에이트 방영은 팬들의 원성을 샀다. 엔들리스 에이트의 줄거리가 반복되는 여름방학 마지막 2주간의 이야기인지라, 장장 8화에 걸쳐 비슷한 장면(의상, 배경, 대사 등이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이 반복되면서 팬들의 기대를 무너뜨리고 전체적인 내용을 지루하게 만들었다.
3. 2. 1. TV 방송 순서
TV 방영 시에는 원작의 발행 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 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DVD에서는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었지만, TV 방영 순서와는 차이가 있다. 2009년에는 2006년판을 기초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새로운 에피소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방영되었다.2006년 TV 방송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수 | 제목 |
---|---|
제1화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제2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제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
제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
제5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
제6화 | 고도 증후군 (전편) |
제7화 | Mystérique Sign |
제8화 | 고도 증후군 (후편) |
제9화 | Someday in the Rain |
제10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
제11화 | 사수자리의 날 |
제12화 | Live Alive |
제1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
제1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
2009년 TV 방송 순서는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새로운 에피소드)
화수 | 서브타이틀 |
---|---|
제1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제2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
제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
제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
제5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
제6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
제7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
제8화 | 조릿대잎 랩소디 |
제9화 | Mystérique Sign |
제10화 | 고도 증후군·전편 |
제11화 | 고도 증후군·후편 |
제12화 | 엔들리스 에이트 |
제13화 | |
제14화 | |
제15화 | |
제16화 | |
제17화 | |
제18화 | |
제19화 | |
제20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 |
제21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 |
제22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I |
제23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
제24화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 |
제25화 |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
제26화 | Live Alive |
제27화 | 사수자리의 날 |
제28화 | Someday in the Rain |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 순서를 시간 순서와 다르게 배정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원작 팬에게 신선함을 제공하는 한편, 원작을 읽지 않은 시청자도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한다.
4. 등장인물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각 등장인물의 성우가 배정되었다.
SOS단과 기타 등장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등장인물 문서의 해당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4. 1. SOS단
등장인물 | 설명 |
---|---|
쿈 | 주인공, 평범한 남학생, SOS단 단원 |
스즈미야 하루히 | 여주인공, SOS단 단장 |
나가토 유키 | SOS단 단원, 문예부장, 외계인 |
아사히나 미쿠루 | SOS단 부부단장, 미래인 |
코이즈미 이츠키 | SOS단 부단장, 초능력자 |
4. 2. 기타 등장인물
- '''아사쿠라 료코'''(일본어: 朝倉 涼子朝倉 涼子|아사쿠라 료코일본어): 쿈의 반 친구로, 나가토 유키의 백업을 맡았다.[1]
- '''츠루야 씨'''(일본어: 鶴屋さん鶴屋さん|쓰루야 산일본어): 아사히나 미쿠루의 반 친구이다.[1]
- '''타니구치'''(일본어: 谷口谷口|다니구치일본어): 쿈의 반 친구이다.[1]
- '''쿠니키다'''(일본어: 国木田国木田|구니키다일본어): 쿈의 반 친구이다.[1]
- '''쿈의 여동생'''(일본어: キョンの妹キョンの妹|굔노 이모토일본어): 쿈의 여동생이다.[1]
- '''컴퓨터 연구부 부장'''(일본어: コンピュータ研究部部長コンピュータ研究部部長|곤퓨타 겐큐부 부초일본어): 컴퓨터 연구부의 부장이다.[1]
- '''키미도리 에미리'''(일본어: 喜緑 江美里喜緑 江美里|기미도리 에미리일본어):[1]
- '''타마루 케이이치'''(일본어: 多丸 圭一多丸 圭一|다마루 게이치일본어):[1]
- '''타마루 유타카'''(일본어: 多丸 裕多丸 裕|다마루 유타카일본어):[1]
- '''아라카와'''(일본어: 新川新川|아라카와일본어):[1]
- '''모리 소노우'''(일본어: 森 園生森 園生|모리 소노일본어):[1]
- '''샤미센'''(일본어: シャミセンシャミセン|샤미센일본어):[1]
5. 용어
- '''SOS단'''
스즈미야 하루히가 설립한 동아리로, '세계를 엄청나게 활기차게 만들기 위한 스즈미야 하루히의 단체(世界を大いに盛り上げるための涼宮ハルヒの団)'의 약자이다.[1]
- '''정보 통합 사념체'''
우주인이며, 나가토 유키와 아사쿠라 료코를 만들어냈다.[1]
- '''대 유기 생명체 컨택트용 휴머노이드 인터페이스'''
나가토 유키와 아사쿠라 료코의 정체이다.[1]
- '''미래인'''
미래에서 온 조사원이다. 아사히나 미쿠루가 미래인이다.[1]
- '''기관'''
초능력자 집단이며,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되어 있다.[1]
- '''폐쇄 공간'''
스즈미야 하루히의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이공간이다.[1]
- '''신인'''
폐쇄 공간에 나타나는 거인이다.[1]
- '''ENOZ'''
북고교 경음부 밴드이다. 밴드 이름은 멤버 4명의 이니셜('''E'''nami, '''N'''akanishi, '''O'''kada, '''Z'''aizen)에서 따왔다.[1]
6. 제작진
캐릭터 원안
총 작화감독
(제11화 〈사수좌의 날〉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