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 일본의 라이트 노벨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2006년과 2009년에 두 차례에 걸쳐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2010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었다. 이 작품은 평범한 고등학생 쿈과 그가 속한 SOS단의 이야기로, 스즈미야 하루히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SF, 미스터리, 러브 코미디 요소를 담고 있다. 2006년에는 원작의 설정을 활용한 셔플 방송 방식을, 2009년에는 시계열 순으로 방송되었다. 이 작품은 2000년대 심야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으로, '하루히 댄스' 등의 사회 현상을 만들어내며 큰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노미야시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은 《凉宮ハルヒシリーズ》를 기반으로, 소심한 나가토 유키가 교통사고 후 다른 인격이 나타나면서 쿈, 아사쿠라 료코 등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니시노미야시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반딧불이의 묘
    반딧불이의 묘는 노사카 아키유키의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제작한 1988년 애니메이션 영화로, 태평양 전쟁 말기 고베 대공습으로 고아가 된 남매가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겪는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반전 영화이며, 다양한 수상 경력과 함께 TV 드라마와 실사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2009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2009년 본즈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는 아라카와 히로무의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를 원작으로, 엘릭 형제의 여정을 통해 현자의 돌, 호문쿨루스, 정부의 음모를 다루며, 뛰어난 액션과 감성적 스토리텔링, 유명 가수들의 참여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 2009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여름의 폭풍!
    《여름의 폭풍!》은 여름 방학에 요코하마에 온 소년 야사카 하지메가 찻집에서 유령 소녀 아라시야마 사요코와 만나 시간 여행을 하며 과거 사건을 해결하고, 아라시 친구들과 현대 인물들이 얽히는 이야기를 그린 코바야시 진의 만화로, 2009년 샤프트에서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어 신보 아키유키 감독의 연출과 복고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
  • 스즈미야 하루히 - 타니가와 나가루
    타니가와 나가루는 일본의 소설가로,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로 유명하며 2003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로 스니커 대상을 수상했다.
  • 스즈미야 하루히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은 《凉宮ハルヒシリーズ》를 기반으로, 소심한 나가토 유키가 교통사고 후 다른 인격이 나타나면서 쿈, 아사쿠라 료코 등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즈미야 하루히 로고
로고
장르학원
사이언스 픽션
세카이계
일상계
애니메이션 (제1기, 2006년)
원작타니가와 나가루
감독이시하라 타츠야
시리즈 디렉터야마모토 유타카 (시리즈 연출)
시리즈 구성스즈미야 하루히와 유쾌한 동료들
각본야마모토 유타카
이시하라 타츠야
무라모토 가츠히코
조 이토
시모 후미히코
타니가와 나가루
가토 쇼지
캐릭터 디자인이케다 쇼코
음악코사키 사토루
애니메이션 제작교토 애니메이션
제작SOS단
방송국치바테레비 외
방송 시작2006년 4월 3일
방송 종료2006년 7월 3일
화수전 14화
대한민국 방송국애니맥스
대한민국 방송 시작2008년 1월 11일
대한민국 방송 종료2008년 2월 22일
애니메이션 (2009년판)
원작타니가와 나가루
총감독이시하라 타츠야
감독다케모토 야스히로
시리즈 구성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각본시모 후미히코
가토 쇼지
다케모토 야스히로
무라모토 가츠히코
타니가와 나가루
이시하라 타츠야
캐릭터 디자인이케다 쇼코
음악코사키 사토루
애니메이션 제작교토 애니메이션
제작SOS단
방송국산테레비 외
방송 시작2009년 4월 3일
방송 종료2009년 10월 9일
화수전 28화 (재방송 14화 + 신작 14화)
대한민국 방송국애니맥스
관련 작품
원작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타니가와 나가루)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뇨롱 츄루야씨
나가토 유키 짱의 소실
극장판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
만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미즈노 마코토)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츠가노 가쿠)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뿌요)
고이즈미 이츠키 군의 음모 (뿌요)
뇨롱 츄루야씨 (에렛토)
라디오SOS단 라디오 지부
비디오 게임스즈미야 하루히의 약속 (PSP)
스즈미야 하루히의 당황 (PS2)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 (Wii)
스즈미야 하루히의 병렬 (Wii)
스즈미야 하루히의 직렬 (DS)
TDOS3 for iPhone (iPhone/iPod touch)
스즈미야 하루히의 추상 (PS3/PSP)
스즈미야 하루히의 단결 (휴대 전화 (GREE))
스즈미야 하루히의 전생 (휴대 전화 (GREE))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마작 (PSP)

2. 역사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가 2006년에 교토 애니메이션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독립 UHF 등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다.[1] 여자 고등학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평범한 학교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비상식적인 사건을, 강제로 SOS단에 가입하게 된 평범한 남자 고등학생 쿈의 시점에서 그리고 있다.

UHF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높은 퀄리티가 화제를 모아 2006년 상반기 화제작이 되었다. 이 애니메이션 방영을 계기로 원작 소설의 누계 발행 부수가 130만 부에서 450만 부로 크게 상승했고, 캐릭터송 판매 실적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2006년 2월 3일부터 2006년 12월까지는 라디오 프로그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가 라디오 관서에서 방송되었다.

3. 줄거리 및 에피소드 구성

타니가와 나가루 원작의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2006년에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다. 같은 해 4월부터 7월까지 독립 UHF 등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스즈미야 하루히가 "우주인이나 미래인, 초능력자를 찾아내서 같이 노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한 SOS단을 중심으로 평범한 학교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비상식적인 사건을, 강제로 SOS단에 가입하게 된 평범한 남자 고등학생 쿈의 시점에서 그리고 있다.

UHF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높은 퀄리티로 2006년 상반기 화제작이 되었다. 이 애니메이션 방영을 계기로 원작 소설의 누계 발행 부수가 130만 부에서 450만 부로 크게 상승했고, 캐릭터송 판매 실적도 높았다.

2006년 2월 3일부터 12월까지는 라디오 프로그램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SOS단 라디오 지부》가 라디오 관서에서 방송되었다.

3. 1. 2006년판 (1기)

작품 내용은 원작 시리즈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중심으로, 3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5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6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의 일부 단편과,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애니메이션을 위해 새로 쓴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Someday in the Rain"으로 구성되었다.[1]

"Someday in the Rain" 편은, 쿈의 1인칭 해설과 함께 진행되는 작품을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쿈이 없는 SOS단"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작되었다.[1]

TV 방영 시에는 원작의 발행 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 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1] 이 때문에 다음 회 예고 때 스즈미야 하루히는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화수를 말하고, 뒤이어 쿈은 TV 방영 순서를 따른 화수와 부제목을 말하며 정정한다.[1]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 순서를 시간 순서와 다르게 배치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원작에 충실할수록 원작을 보지 않은 시청자에게는 좋지만, 이미 스토리를 아는 원작 팬들의 재미가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원작 팬을 위해 애니메이션 자체 요소를 늘리면 원작의 분위기를 해칠 위험이 있다. 원작을 따르면서도 원작 팬에게 신선함을 주고자 한 결과, 이와 같은 방송 순서가 나왔다고 한다.

시간 배열은 달라졌지만, 장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 VI) 사이에 단편이 끼어 있는 것뿐이며, 단편이 장편의 복선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DVD에 시간 순서대로 수록한 것은, 다시 한번 시간 배열대로 보게 하여 새로운 발견을 유도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원작자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를 최종화로 하기로 결정했는데, 그러면 시간 배열이 복잡해지므로 아예 설명 없이 방영 순서를 완전히 섞어버리자고 생각했다고 한다. 시리즈 연출을 맡은 야마모토 유타카의 "초감독 하루히는 자기가 만든 영화를 제1화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그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3. 1. 1. TV 방송 순서

화수제목
제1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6화고도 증후군 (전편)
제7화Mystérique Sign
제8화고도 증후군 (후편)
제9화Someday in the Rain
제1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1화사수자리의 날
제12화Live Alive
제1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1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3. 1. 2. 시계열 순서

DVD에서는 가장 먼저 발매된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을 제외하고 모두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1] 차회 예고도 그에 따라 나가토 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변경되었다.[1] TV 방영 시의 차회 예고는 DVD의 영상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1]

계절화수제목원작DVD 수록 권
4 - 5월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1권 《우울》1권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2권
제1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3권
제1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6월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3권 《무료》4권
7월제7화Mystérique Sign
제6화고도 증후군 (전편)5권
제8화고도 증후군 (후편)
11월제1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6권 《동요》0권
제12화Live Alive6권
제11화사수자리의 날5권 《폭주》
제9화Someday in the Rain애니 오리지널7권


3. 2. 2009년판 (2기)

2009년판은 2006년판을 기초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중간에 새로운 에피소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방영되었다. 가도카와 쇼텐이 방송 전에 서브타이틀을 공표하지 않아 신작에 대한 기대와 함께 어떤 방송이 될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고, 새로운 에피소드가 방영되면서부터는 다음 화에 대한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했다.

2006년판 방영분은 DVD에 수록된 디렉터즈 컷 버전이었고, 오프닝 크레딧만 스태프 변경에 따라 일부 수정되었다.

2기가 방송될 당시 원작 소설인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가 2년 넘게 신작(스즈미야 하루히의 경악)이 발표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2기에 많은 관심과 기대가 모아졌다. 하지만 8화에 걸친 엔들리스 에이트 방영은 팬들의 원성을 샀다. 엔들리스 에이트의 줄거리가 반복되는 여름방학 마지막 2주간의 이야기인지라, 장장 8화에 걸쳐 비슷한 장면(의상, 배경, 대사 등이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이 반복되면서 팬들의 기대를 무너뜨리고 전체적인 내용을 지루하게 만들었다.

3. 2. 1. TV 방송 순서

TV 방영 시에는 원작의 발행 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 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DVD에서는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었지만, TV 방영 순서와는 차이가 있다. 2009년에는 2006년판을 기초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새로운 에피소드를 더하는 방식으로 방영되었다.

2006년 TV 방송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수제목
제1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6화고도 증후군 (전편)
제7화Mystérique Sign
제8화고도 증후군 (후편)
제9화Someday in the Rain
제1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1화사수자리의 날
제12화Live Alive
제1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1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2009년 TV 방송 순서는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새로운 에피소드)

화수서브타이틀
제1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6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제7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8화조릿대잎 랩소디
제9화Mystérique Sign
제10화고도 증후군·전편
제11화고도 증후군·후편
제12화엔들리스 에이트
제13화
제14화
제15화
제16화
제17화
제18화
제19화
제2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
제21화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
제2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II
제2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V
제2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
제25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6화Live Alive
제27화사수자리의 날
제28화Someday in the Rain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 순서를 시간 순서와 다르게 배정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원작 팬에게 신선함을 제공하는 한편, 원작을 읽지 않은 시청자도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한다.

4. 등장인물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각 등장인물의 성우가 배정되었다.

SOS단과 기타 등장인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등장인물 문서의 해당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4. 1. SOS단

등장인물설명
주인공, 평범한 남학생, SOS단 단원
스즈미야 하루히여주인공, SOS단 단장
나가토 유키SOS단 단원, 문예부장, 외계인
아사히나 미쿠루SOS단 부부단장, 미래인
코이즈미 이츠키SOS단 부단장, 초능력자


4. 2. 기타 등장인물


  • '''아사쿠라 료코'''(일본어: 朝倉 涼子朝倉 涼子|아사쿠라 료코일본어): 쿈의 반 친구로, 나가토 유키의 백업을 맡았다.[1]
  • '''츠루야 씨'''(일본어: 鶴屋さん鶴屋さん|쓰루야 산일본어): 아사히나 미쿠루의 반 친구이다.[1]
  • '''타니구치'''(일본어: 谷口谷口|다니구치일본어): 쿈의 반 친구이다.[1]
  • '''쿠니키다'''(일본어: 国木田国木田|구니키다일본어): 쿈의 반 친구이다.[1]
  • '''쿈의 여동생'''(일본어: キョンの妹キョンの妹|굔노 이모토일본어): 쿈의 여동생이다.[1]
  • '''컴퓨터 연구부 부장'''(일본어: コンピュータ研究部部長コンピュータ研究部部長|곤퓨타 겐큐부 부초일본어): 컴퓨터 연구부의 부장이다.[1]
  • '''키미도리 에미리'''(일본어: 喜緑 江美里喜緑 江美里|기미도리 에미리일본어):[1]
  • '''타마루 케이이치'''(일본어: 多丸 圭一多丸 圭一|다마루 게이치일본어):[1]
  • '''타마루 유타카'''(일본어: 多丸 裕多丸 裕|다마루 유타카일본어):[1]
  • '''아라카와'''(일본어: 新川新川|아라카와일본어):[1]
  • '''모리 소노우'''(일본어: 森 園生森 園生|모리 소노일본어):[1]
  • '''샤미센'''(일본어: シャミセンシャミセン|샤미센일본어):[1]

5. 용어


  • '''SOS단'''


스즈미야 하루히가 설립한 동아리로, '세계를 엄청나게 활기차게 만들기 위한 스즈미야 하루히의 단체(世界を大いに盛り上げるための涼宮ハルヒの団)'의 약자이다.[1]

  • '''정보 통합 사념체'''


우주인이며, 나가토 유키와 아사쿠라 료코를 만들어냈다.[1]

  • '''대 유기 생명체 컨택트용 휴머노이드 인터페이스'''


나가토 유키와 아사쿠라 료코의 정체이다.[1]

  • '''미래인'''


미래에서 온 조사원이다. 아사히나 미쿠루가 미래인이다.[1]

  • '''기관'''


초능력자 집단이며, 코이즈미 이츠키가 소속되어 있다.[1]

  • '''폐쇄 공간'''


스즈미야 하루히의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이공간이다.[1]

  • '''신인'''


폐쇄 공간에 나타나는 거인이다.[1]

  • '''ENOZ'''


북고교 경음부 밴드이다. 밴드 이름은 멤버 4명의 이니셜('''E'''nami, '''N'''akanishi, '''O'''kada, '''Z'''aizen)에서 따왔다.[1]

6. 제작진

캐릭터 원안이토 노이지이토 노이지감독이시하라 타츠야이시하라 타츠야 (단장대리)시리즈 연출야마모토 유타카(없음)캐릭터 디자인
총 작화감독이케다 쇼코이케다 아키코메카닉 디자인에비카와 카네타케
(제11화 〈사수좌의 날〉 참여)(없음)미술 감독타무라 세이키타무라 세이키색채 설계이시다 나오미(없음)촬영 감독타나카 요시코(없음)음향 감독츠루오카 요우타(없음)음악코우사키 사토루(없음)제작SOS단 / 교토 애니메이션SOS단 / 교토 애니메이션단장(없음)스즈미야 하루히단장보좌(없음)타케모토 야스히로제작 총감독(없음)니시야 히로시시리즈 구성(없음)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2009년판은 스즈미야 하루히가 프로듀서(표기상 Super Producer)를 담당하고 있다는 설정이다.

각본은 '쿈이 보지 않는 곳에서는 드라마가 진행되지 않는다'는 원칙이 있었으나,[1] '섬데이 인 더 레인' 에피소드에서는 예외적으로 쿈의 시점이 아닌 제3자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사수좌의 날' 에피소드는 풀 메탈 패닉!의 원작자 가토 쇼지가 각본을 담당했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직접 각본을 맡았다.

2009년판에서는 가토 쇼지가 '엔드리스 에이트'(제12화)의 각본을, 타니가와 나가루가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의 각본을 담당했다.

색채 설계 담당 이시다 나오미는 원작 일러스트에 가깝게 하면서도 밝고 활기찬 느낌을 주고자 했다. 각 캐릭터별 이미지 컬러도 설정했는데, 하루히는 오렌지색, 나가토는 연두색, 미쿠루는 핑크색이다.

6. 1. 2006년판 (1기)



각본에 대한 약속으로 "쿈이 보지 않는 곳에서는 드라마가 진행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본편 에피소드 "사수좌의 날"에서는 『풀 메탈 패닉!』의 원작자 가토 쇼지가 각본을 담당했다.[1] 타니가와가 가토를 지명하면서 기용이 결정되었고, 가토는 원작 부분을 어느 정도 남길 것인지, 삭제할 것인지에 대해 고심했다. 또한 글자 수 제한 때문에 고생했다고 회고했다.

타니가와 본인이 각본을 맡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 "섬데이 인 더 레인"은 "쿈이 보지 않는 곳에서는 드라마가 진행되지 않는다"는 약속을 깼다. 야마모토가 타니가와에게 제3자 시점의 에피소드를 제안했고, 타니가와는 "원작 소설에서는 할 수 없는, 영상화 작품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을 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야마모토는 구성 회의에서 타니가와에게 농담으로 각본을 써 보지 않겠냐고 질문하여 타니가와의 각본 참가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시리즈 연출을 맡은 야마모토는 감독을 서포트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에 깊이 관여했다. 이시하라와 야마모토는 "모든 장면에서 의견을 말하고 제안하는 것이 시리즈 연출이며, 그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감독"이라고 역할을 명확히 했다.

이시하라는 "쿈의 1인칭"이 원작 소설의 매력이자 본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도 가능한 한 충실하게 표현했다. 또한 "날 것 같음"을 중요하게 여겨 애니메이션 기호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야마모토는 SOS단의 일상적인 서클 활동 속에서 비일상적인 요소가 개입하지만, 일상은 파탄나지 않고 고등학교 생활을 보내고 있다는 컨셉을 관철했다.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00"에서는 자율 영화 제작의 "서투른 솜씨"를 연출하기 위해 제작진은 고생했다. 스태프들은 애니메이션으로 "실사 촬영 실수"를 재현하고, 극중 촬영 시간대의 변화에 맞춰 세세한 색 지정을 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시하라 타츠야는 성우들에게 서투르게 연기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힘들었다고 말했고, 야마모토 유타카는 레이아웃에 "엉성하게 해 줘"라고 리테이크를 낸 것은 전대미문이었다고 말했다.

"사수자리의 날"에서 타케모토 야스히로는 나가토를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라이브 얼라이브"의 라이브 신에서는 기타, 베이스, 드럼의 움직임을 충실히 재현했다. 야마모토는 로토스코프 기법을 사용했으며, 하루히의 노래하는 표정은 히라노 아야의 표정을 레코딩 시에 촬영하여 그렸다. 야마모토는 이 회를 클라이맥스로 생각하고, 엑스트라 캐릭터도 전원 움직이게 해 작화 매수가 다른 에피소드의 약 2배가 되었다.

"섬데이 인 더 레인"에서는 나가토가 책을 읽는 장면이 롱 테이크로 묘사되었다. 야마모토는 나가토의 심정을 시청자에게 맛보게 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 장면은 숨겨진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처럼 연출되었는데, 이는 SOS단의 일상이 거짓말처럼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야마모토의 제안이었다. 이 회에서 나가토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으며, 치하라 미노리의 이름은 크레딧되지 않았다.

6. 2. 2009년판 (2기)

2009년판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1]

직책이름
단장스즈미야 하루히
단장대리이시하라 타츠야
단장보좌타케모토 야스히로
원작, 구성협력타니가와 나가루
원작 디자인이토 노이지
캐릭터 디자인이케다 아키코
제작 총감독니시야 히로시
미술감독타무라 세이키
시리즈 구성스즈미야 하루히와 역시 유쾌한 동료들
제작SOS단, 교토 애니메이션



이 작품은 스즈미야 하루히가 프로듀서(표기상 Super Producer)를 담당하고 있다는 설정이다.[1]

2009년판에서 사용된 오프닝/엔딩 곡은 다음과 같다.


  • 맑음맑음 유쾌》 (ハレ晴レユカイ일본어) (제1화 ~ 제5화, 제 6화 ~ 제 7화, 제 9화 ~ 11화, 제 25화 ~ 제 28화):[1]
  • * 작사: 하타 아키, 작곡: 다시로 도모카즈, 편곡: 안도 다카히로
  • * 노래: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 모험이지, 그렇지?》 (제6화):[1]
  • 멈춰라!》 (止マレ!일본어) (제 8화, 제 12화 ~ 제 24화):[1]
  • * 작사: 하타 아키, 작곡: 다시로 도모카즈, 편곡: 안도 다카히로
  • * 노래: 히라노 아야, 치하라 미노리, 고토 유코


멈춰라!》는 제18화와 22화 방송분에서 점멸씬 색의 명도가 달랐다. 제22화에서 미쿠루가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쿈·코이즈미도 각각 색이 연해졌다. 한편 청각적으로는 나가토 유키와 하루히는 노이즈가 심해졌다.[1]

〈엔들리스 에이트(8번째)〉와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V〉는 엔딩 테마가 생략되어 방영되었다.[1]

2009년판에서도 가토 쇼지와 타니가와 나가루가 각본을 담당한 에피소드가 있다. 가토 쇼지는 "엔드리스 에이트"(제12화)의 각본을 맡았다.[1] 타니가와 나가루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I"의 각본을 맡았다.[1]

2009년판에서 처음으로 총 작화 감독을 담당한 니시야 타이시는 모든 화를 확인할 때 특히 "캐릭터의 표정"과 "감정의 변화"를 중시했다.[1] 그는 신작 에피소드인 "엔드리스 에이트"에서는 나가토의 미묘한 표정에 특히 힘을 쏟았고, 마찬가지로 신작 에피소드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에서는 하루히가 주변에 방약무인한 행동을 하기 때문에, 그녀의 천진난만한 귀여움을 잃지 않도록 의식했다고 회상했다.[1]

미술 감독인 타무라 세이키는 2009년판은 어두운 분위기가 있을 것 같아서 수채화 터치뿐만 아니라 유화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제1기가 "인상파"라고 한다면 2009년판은 "바로크"라고 표현했다.[1]

7. 음악

음반은 모두 란티스에서 발매되었다. 판매는 다른 CD와 마찬가지로 킹레코드에서 위탁받았으며, 2009년도 발매분부터 신회사인 반다이 비주얼로 판매 위탁처가 변경되었다.[1]

7. 1. 주제가

모든 주제가는 란티스에서 발매되었다. 킹레코드에서 판매를 위탁받았으며, 2009년 발매분부터는 반다이 비주얼로 판매 위탁처가 변경되었다.[1]

시간순 방송 제12화에서는 〈God knows...〉와 〈Lost my music〉가 삽입곡으로 방영되었다. 두 곡 모두 스즈미야 하루히(히라노 아야)가 불렀으며, 작사는 하타 아키, 작곡 및 편곡은 고사키 사토루가 담당했다. 이 곡들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혼합〉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1]

  • '''오프닝 테마'''
  • '''엔딩 테마'''

7. 2. 삽입곡

란티스에서 삽입곡을 발매했다.[1]

두 곡은 시간순 방송 제12화에서 방영되었으며, 〈스즈미야 하루히의 혼합〉에 수록되어 있다.[1]

음악 프로듀서 사이토 시게루는 "나가토의 기타가 초절정 테크닉이라는 설정" 때문에 실력 있는 음악가들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기타 담당으로 니시카와 스스무, 드럼 담당으로 오다와라 유타카, 베이스 담당으로 타네다 켄을 기용했다. 사이토는 니시카와에게 "나가토는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어려운 테크닉으로 연주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고, 오다와라와 타네다에게는 "다른 두 사람은 평범한 고등학생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은 하지 말아 줬으면 좋겠다"고 각각 지시했다.

8. 특징

극 중 설정에 따르면, SOS단의 공식 사이트는 주인공 쿈이 단장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명령에 따라 제작하고 있다는 설정이다. 실제로 시청자에게 공개된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는 이 설정을 그대로 반영하여, 극 중 사이트를 모방한, 아마추어가 대충 만든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방송 내용이나 원작 속 사건의 날짜와 연동하여 사이트가 업데이트되거나, 곳곳에 숨겨진 콘텐츠가 있기도 했다. 공식 사이트 제작자 하타노 아츠시는 공식 사이트의 기획을 담당한 스코 히로카타로부터 "애니메이션의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사이트로 만들고 싶다", "SOS단 로고 마크가 매번 바뀌는 연출을 하고 싶다"는 제안을 받아 위와 같은 연출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으며, 원래는 메인 페이지 외에는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처럼 제작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2009년판 제작 중에는 "교정에서 수수께끼의 문자를 그리는 그림자"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방송되었고(2007년 7월 7일 밤), 공식 사이트가 갑자기 "Not Found"가 되어 사라진 사이트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면 나가토 유키의 의미심장한 메시지와 함께 신작 애니메이션의 공지가 이루어졌으며(2007년 12월 18일), "현립 키타 고교 문예부"의 홈페이지가 나타나는 등(2007년 12월 19일)의 독특한 연출이 이루어졌다.[1]

8. 1. 구성 및 작화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2. 패러디

이 애니메이션에는 《터치》, 《풀 메탈 패닉!》, 《역전재판》, 《명탐정 코난》, 《기동전사 건담》, 《은하영웅전설》, 《우주전함 야마토》, 《린다린다린다》 등 다양한 작품의 패러디가 등장한다.

8. 3. 원작 소설과의 차이점

작품 내용은 원작 시리즈 제1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을 기본으로, 3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5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폭주》, 6권 《스즈미야 하루히의 동요》의 일부 단편과, 원작자 타니가와 나가루가 애니메이션을 위해 새로 쓴 오리지널 스토리인 "Someday in the Rain"으로 구성되었다.

"Someday in the Rain" 편은, 항상 쿈의 1인칭 해설과 함께 진행되는 작품을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쿈이 없는 SOS단"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TV 방영 시에는 원작의 발행 순서나 이야기상의 시간 진행과는 다른 순서로 방영되었다. 때문에 차회 예고 때 스즈미야 하루히는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의 화수를 말하고, 뒤에 이어 쿈은 TV 방영 순서를 따른 화수와 서브타이틀을 말하며 정정한다.

DVD에서는 가장 먼저 발매된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을 제외하고 모두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차회 예고도 그에 따라 나가토 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변경되었다. TV 방영 시의 차회 예고는 DVD의 영상 특전으로서 수록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

! 2006년 TV 방송 순서

! 시계열 순서

|-

|

화수제목
제1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
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
제6화고도 증후군 (전편)
제7화Mystérique Sign
제8화고도 증후군 (후편)
제9화Someday in the Rain
제1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1화사수자리의 날
제12화Live Alive
제1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
제1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

계절화수제목원작DVD 수록 권
4 - 5월제2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1권 《우울》1권
제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
제5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II2권
제10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IV
제13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3권
제1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
6월제4화스즈미야 하루히의 무료3권 《무료》4권
7월제7화Mystérique Sign
제6화고도 증후군 (전편)5권
제8화고도 증후군 (후편)
11월제1화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Episode 006권 《동요》0권
제12화Live Alive6권
제11화사수자리의 날5권 《폭주》
제9화Someday in the Rain애니 오리지널7권



|}

감독 이시하라 타츠야는 방송 순서를 시간 순서와 다르게 배정한 이유를, "원작의 충실한 이식"과 "원작 팬을 놀래주는 것" 두 가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라고 한다.[1] 원작에 충실할수록 원작을 읽지 않은 시청자에게는 좋은 배려이지만, 스토리를 이미 알고 있는 원작 팬들의 보는 재미가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1] 반면, 원작 팬을 배려하여 애니메이션 자체적 요소를 늘린다면 원작의 분위기를 해칠 위험성이 생긴다.[1] 원작을 충실히 따르면서 원작 팬에게도 신선함을 제공하고자 한 결과, 이와 같은 방송 순서가 나왔다고 한다.[1]

시간 배열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장편(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I - VI) 사이에 단편이 끼어있는 것뿐, 단편이 장편의 복선 기능을 하게끔 되었다고도 하고 있다.[1] DVD에 시간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는 것은, 다시 한번 DVD를 통해 시간 배열대로 보게 하여 새로운 발견을 주게끔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1]

원작자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를 최종화로 하기로 정했는데 그러면 시간 배열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그러느니 아예 설명 없이 방영 순서를 완전히 섞어버리자고 생각했다고도 한다.[1] 시리즈 연출을 맡은 야마모토 유타카의 "초감독 하루히는 자기가 만든 영화를 제1화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그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1]

8. 4. 무대

(요약 및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무대'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8. 5. 공식 사이트

극 중 설정에 따르면, SOS단의 공식 사이트는 주인공 쿈이 단장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명령에 따라 제작하고 있다는 설정이다. 실제로 시청자에게 공개된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는 이 설정을 그대로 반영하여, 극 중 사이트를 모방한 아마추어가 대충 만든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방송 내용이나 원작 속 사건의 날짜와 연동하여 사이트가 업데이트되거나, 곳곳에 숨겨진 콘텐츠가 있기도 했다. 공식 사이트 제작자 하타노 아츠시는 공식 사이트의 기획을 담당한 스코 히로카타로부터 "애니메이션의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사이트로 만들고 싶다", "SOS단 로고 마크가 매번 바뀌는 연출을 하고 싶다"는 제안을 받아 위와 같은 연출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으며, 원래는 메인 페이지 외에는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처럼 제작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2009년판 제작 중에는 "교정에서 수수께끼의 문자를 그리는 그림자"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방송되었고(2007년 7월 7일 밤), 공식 사이트가 갑자기 "Not Found"가 되어 사라진 사이트에 있는 문자를 입력하면 나가토 유키의 의미심장한 메시지와 함께 신작 애니메이션의 공지가 이루어졌으며(2007년 12월 18일), "현립 키타 고교 문예부"의 홈페이지가 나타나는 등(2007년 12월 19일)의 독특한 연출이 이루어졌다.

9. 반응 및 영향

涼宮ハルヒの憂鬱 (アニメーション)|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일본어은 심야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이자 대중화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높은 작화 퀄리티와 독특한 구성은 물론 원작 소설의 매력을 잘 살렸다는 호평을 받았다.

이 작품은 당시 독립 UHF 방송국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퀄리티로 큰 화제를 모으며, 2006년 상반기 최고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작품의 엔딩곡인 '하레하레 유카이'는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안무로 큰 인기를 얻어, 수많은 패러디 영상이 제작되는 등 사회 현상으로까지 번지기도 했다.

애니메이션의 성공은 스즈미야 하루히 역의 히라노 아야, 나가토 유키 역의 치하라 미노리, 아사히나 미쿠루 역의 고토 유코 등 주연 성우들의 인지도 상승에도 크게 기여했다.

작품의 배경이 된 효고현 니시노미야시는 팬들에게 '성지'로 여겨져, 수많은 팬들이 작품 속 장소를 방문하는 '성지 순례' 붐이 일기도 했다.

9. 1. 평가

涼宮ハルヒの憂鬱 (アニメーション)|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애니메이션)일본어은 심야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이자, 대중화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높은 작화 퀄리티와 독특한 구성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원작 소설의 매력을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9. 2. 수상 경력

이 애니메이션은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상 이름수상 부문비고
애니메이션 고베작품상·TV 부문제11회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TV 부문 우수 작품상


9. 3. 영향

이 애니메이션은 타니가와 나가루의 원작 라이트노벨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인기를 크게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방영을 계기로 원작 소설의 누계 발행 부수가 130만 부에서 450만 부로 급증했으며, 캐릭터송 음반도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 작품은 당시 독립 UHF 방송국에서 심야 시간대에 방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퀄리티로 큰 화제를 모으며, 2006년 상반기 최고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이는 라이트 노벨 원작의 심야 애니메이션 시장 확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작품의 엔딩곡인 '하레하레 유카이'는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안무로 큰 인기를 얻어, 수많은 패러디 영상이 제작되는 등 사회 현상으로까지 번지기도 했다. 특히, 주연 성우들이 직접 춤을 추는 영상은 유튜브 등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하레하레 유카이' 댄스 열풍을 이끌었다.

애니메이션의 성공은 주연 성우들의 인지도 상승에도 크게 기여했다. 스즈미야 하루히 역의 히라노 아야, 나가토 유키 역의 치하라 미노리, 아사히나 미쿠루 역의 고토 유코 등은 이 작품을 통해 스타 성우로 발돋움했다.

작품의 배경이 된 효고현 니시노미야시는 팬들에게 '성지'로 여겨져, 수많은 팬들이 작품 속 장소를 방문하는 '성지 순례' 붐이 일기도 했다.

10. 관련 미디어

애니메이션에는 여러 클래식 음악이 삽입되었다. 모리스 라벨의 Daphnis et Chloé|다프니스와 클로에프랑스어 제2 모음곡 '새벽'이 11화 '사수자리의 날' 초반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Симфония № 7|교향곡 7번ru 제1악장 '전쟁'이 11화 중반에,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Симфония № 4|교향곡 4번ru 제4악장이 11화 후반에, 구스타프 말러의 Sinfonie Nr. 8|교향곡 8번de 제1부가 14화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VI'에 사용되었다.

10. 1. 라디오

SOS団ラジオ支部|SOS단 라디오 지부일본어

10. 2. 웹 애니메이션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웹 애니메이션으로는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과 《뇨롱 츄루야 씨》가 있다.

10. 3. 극장판 애니메이션

涼宮ハルヒの消失일본어

10. 4. 게임

PSP용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약속》, PS2용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당혹》, Wii용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동》, 《스즈미야 하루히의 병렬》, NDS용 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직렬》이 발매되었다.

10. 5. 파칭코/파치슬로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11. 이벤트

2007년 3월 18일, 오오미야 소닉시티에서 〈스즈미야 하루히의 격주〉(涼宮ハルヒの激奏일본어)라는 라이브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이벤트는 1부와 2부 라이브로 구성되었으며, 성우진 대부분이 출연했다. 라이브는 《사랑의 미쿠루 전설》부터 시작하여, 성우진이 각자의 노래(캐릭터송)를 불렀다. 이 이벤트를 촬영한 DVD(2장 구성)가 2007년 7월 27일 발매되었다. 사회는 시라이시 미노루, 보조는 마츠모토 메구미가 맡았으며, 히라노 아야, 고토 유코, 치하라 미노리, 스기타 토모카즈, 오노 다이스케, 마츠오카 유키, 쿠와타니 나츠코, 아오키 사야카, 시라토리 유리가 출연했다. 게스트로는 이시하라 타츠야이케다 쇼코가 등장했다.

사회학자 미야이리 쿄헤이는 이 작품을 애니메이션과 라이브 문화가 융합된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했지만, 이후 『러브 라이브!』, 『아이카츠!』 등이 등장하면서 작중 아이돌 그룹과 캐릭터를 연기하는 성우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12. 대한민국에서의 방영

애니맥스 코리아를 통해 2008년 1월부터 한국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